반응형
IBK기업은행(024110)이 최근 은행주중 역대최대 수준으로 평가되는 6.9%배당금을 지급했습니다. 3월 배당 투자 기회를 찾는 투자자라면 놓칠 수 없는 기업은행(IBK)의 배당금과 주가 전망을 알아보겠습니다.
글을 시작하기에 앞서 본글은 투자 권유가 아닌 정보제공 목적이며, 투자는 본인의 판단과 책임하에 이뤄져야합니다.
목차
- 시작하며, 매년 3월은 기업은행 배당투자 어떠세요?
- 최근 배당현황 및 수치 분석
- 기업은행 개요 및 배당 정책
- 주가 및 밸류에이션(PBR·ROE) 전망
- 고려 해볼만한 투자방법
- 마치며, 기업은행 배당주 이렇게 투자하면 어떨까요?
1. 시작하며, 매년 3월은 기업은행 배당투자 어떠세요?
배당투자는 꾸준한 현금흐름을 원하는 투자자에게 매력적인 전략입니다. 특히 3월 말이 배당 기준일인 기업을 선별하면, 분기 또는 연말 배당을 노린 단기 수익과 함께 장기 성장까지 기대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대표적인 3월 배당주인 기업은행(024110)을 중심으로, 배당 수익률, 저평가 매력, 정부 지분 영향 등을 알아보고 앞으로 어떻게 투자하면 좋을지 알아보겠습니다.
2. 기업은행(024110)최근 배당 현황 및 수치 분석
먼저, 2025년 기업은행의 배당금은 얼마나 지급됐는지 배당현황을 보면서 작년과 비교해보겠습니다.
연도 | 배당금(주당) | 수익률 | 배당락일 | 지불일 |
2025년 | 1,065원 | 6.9% | 3월 27일 | 4월 23일 |
2024년 | 984원 | 6.7% | 3월28일 | 4월25일 |
- Investing.com 데이터에 따르면, 기업은행 주당 배당금은 1,065원, 배당수익률은 약 6.87%로 은행 업계 중앙값(6.30%)을 상회합니다(Investing.com 한국어).
- NH투자증권은 2025년 예상 DPS를 1,135원(약 7.6%)으로 전망하며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했습니다(MT News).
3. 기업은행 개요 및 배당 정책
- 기업은행 개요: IBK기업은행은 1961년 설립된 국책은행으로, 중소기업 대출 비중이 높아 안정적인 수익구조를 갖추었습니다.
- 대주주: 기획재정부(약 68.5%)가 최대주주로, 이익 일부를 정부 세수 확보에 사용합니다.
- 배당 정책 : 최근 배당성향(순이익 대비 배당금 비율)은 35% 수준으로 점진적 상향을 목표로 제시했습니다. 2025년부터 분기 배당 도입 기대감도 확산 중입니다(네이트 뉴스).
4. 주가 및 밸류에이션 전망
- 주가 흐름: 2025년 4월30일 기준 종가는 약 15,340원(KRX기준). 배당락 이후 단기간 조정이 있었으나, 장기 추세는 우상향으로 전환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PBR(주가순자산비율): 0.3배 수준으로 동종 은행주 대비 저평가 구간에 진입해 있습니다.
- ROE(자기자본이익률): 약 8.8%로 안정적 수익 창출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러한 지표는 배당 수익뿐 아니라 주가 상승 여력도 충분하다 것을 알수 있습니다.
5. 고려 해볼만한 투자방법
- 배당락 전 분할 매수
- 3월 27일 배당락 전후로 2~3회에 걸쳐 분할 매수.
- PBR 반등 시 차익 실현
- PBR이 업종 평균(약 0.6배) 회복 시 20~30% 차익 실현 고려.
- 분기배당 전환 시 중·장기 보유
- 분기배당 도입 전망을 바탕으로, 최소 2년 이상 보유 전략 수립.
- 포트폴리오 다변화
- 글로벌 디비던드 킹스(Johnson & Johnson 등)와 병행 투자로 리스크 분산.
- 미국 ‘Dividend Kings’는 50년 이상 배당을 매년 늘려온 기업군으로, 대표적으로 Johnson & Johnson(63년 연속 인상) 등이 있습니다(Investopedia, Johnson & Johnson 투자자 관계)
6. 마치며, 기업은행 배당주 이렇게 투자하면 어떨까요?
기업은행은 매년 3월 배당 기준일을 두고있으며, 높은 배당수익률, 저평가 밸류에이션, 정부 지분에 기반한 안정적인 배당이 상당히 매력적인 종목입니다. 단기 배당투자와 중·장기 가치투자가 모두 가능할것으로 기대됩니다. 국내 주식과 더불어 포트폴리오를 다각화 하여 글로벌 디비던드 킹스(미국 Dividend Kings ) 종목과 병행 투자한다면 향후 좋을 성과가 있을것으로 생각됩니다.
참고 및 출처
- 하나증권 “기업은행, 기말 배당수익률 7.3%로 은행 중 가장 높을 전망” (조선일보)
- NH투자증권 “배당성향 35% 적용…2025년 DPS 1135원(수익률 7.6%)” (MT News)
- Nate 리포트 “2025년 분기배당 등 현금배당 강화 기대” (네이트 뉴스)
- 디지털데일리 “분기 배당 도입으로 배당락 변동폭 축소 전망” (디지털데일리)
- Investing.com “기업은행 배당 기록” (Investing.com 한국어)
- Investopedia “Dividend Aristocrats 개념 및 사례” (Investopedia, Johnson & Johnson 투자자 관계)
반응형